민선8기 충남도정의 굵직한 현안들이 표면 위로 드러날 때마다, 그 빈틈을 놓치지 않고 가장 먼저 질문을 던진 이는 언제나 이현숙 충남도의원이었다. 그는 상임위원회와 도정질문, 각종 토론회까지 현장을 가리지 않고 집행부를 정면으로 마주했다. 충남의 재정·복지·의료·공공기관 운영 전반을 세세히 꿰뚫는 그의 질의는 단순한 ‘정치적 공격’이 아니라, 공공기관의 기본을 되묻는 질문이자 도민을 대신한 견제였다.

특히 지난해부터 이어진 행정사무감사에서 그는 충남 공동체활성화센터 운영의 투명성 문제를 강하게 제기했다. 인력 운용과 예산 집행 과정에서 드러난 미비점을 지적하며 “도민 조직을 지원하는 기관이 도민의 눈높이를 잃어선 안 된다”는 원칙을 다시 세웠다. 지방보조금 부정수급 문제에서도 그는 예외가 없었다. 2023년부터 최근까지 지적된 60여 건의 부정수급 사례를 근거로, 민선8기 충남도가 강조해온 ‘도민 중심·공정 행정’이 실제로는 관리·감독의 빈틈을 방치해온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예산은 도민의 혈세이고, 부정수급은 단순 착오가 아니라 신뢰의 붕괴라는 점을 질책한 것이다.

천안의료원 문제 제기는 더욱 상징적이었다. 공고 없는 임시직 채용, 수의계약 운영 관행, 법인카드 사용 부적정 등 구조적 문제를 한 번에 드러낸 그는 “공공의료기관이 기본적 기준조차 지키지 못하는 현실이 충남의 민생을 위협한다”고 경고했다. 충남도가 채용 공고 미준수 사실을 인정하고 전수 점검을 시작하게 된 데는 그의 집요한 추적이 있었다. 공공기관 운영의 원칙을 회복시키는 데 의회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 사례다.

그의 시선은 도정의 큰 틀에서도 흔들리지 않았다. 충남의 실질채무가 5년 사이 네 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놓으며 재정 건전성에 강한 경고를 울렸다. 어느 사업을 줄이고 어떤 정책을 강화해야 하는지, 민선8기가 선택해야 할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도정의 방향 설정을 근본적으로 다시 묻는 질문이었다. “지역의 미래 세대에게 빚을 떠넘길 것인가”라는 그의 발언은 정책적 판단을 넘어 도정 전체를 향한 윤리적 메시지였다.

이현숙 의원의 질의는 때로는 불편하고, 집행부 입장에서는 민감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 정치의 건강성은 불편한 질문이 있어야 유지된다. 충남도가 혁신도시 완성, 지역균형발전, 인구·청년 정책, 공공기관 개혁 등 수많은 과제를 앞두고 있는 지금, 견제 없는 행정은 오히려 더 큰 위험이다. 도의회는 도민의 힘으로 존재하며, 의회의 질문은 곧 도민의 질문이다. 이 단순한 사실은 도가 어떤 명분을 들이대더라도 변하지 않는다.

우리는 지금 다시 한 번 되돌아봐야 한다. 민선8기 충남도정이 강조해온 ‘공정·투명·도민 중심’이 실제 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가. 내부의 문제를 감추거나 미봉책으로 넘기는 순간, 가장 큰 피해자는 도민이다. 이현숙 의원이 반복해서 제기한 문제들은 결코 사소한 행정 실수의 나열이 아니다. 충남의 체질을 강화하라는 구조적 경고이며, 도정의 책임성을 회복하라는 요청이다.

그래서 우리는 생각한다. 지금 충남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칭찬하는 의회’가 아니라 ‘불편함을 말하는 의회’다. 행정의 빈틈을 메우고 공공기관을 바로 세우며 재정의 방향을 교정하는 일은 누구도 대신해줄 수 없다. 도정을 향한 날카로운 질문과 엄정한 감시가 있어야 충남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현숙 의원의 끊임없는 지적과 질책은 충남 정치의 기본값을 다시 일깨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 충남이 더 강한 행정을 원한다면, 더 강한 견제도 함께 존재해야 한다. 그 불편함 속에서 행정은 성장하고, 도민의 권리는 지켜진다.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이 의원의 노력이 더욱 빛나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투데이충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