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의회 권영식 의원이 제안한 상설시장 공공 매입·리모델링과 ‘한돈 특화거리 조성’은 표면적으로 그럴듯해 보인다. 축산 1군이라는 지역의 강점을 살려 침체한 원도심을 살리고, 청년 창업과 관광객 유입을 꾀하자는 취지 자체는 나쁘지 않다.

그러나, 정작 해결해야 할 본질적 문제와 재정적 타당성 검증은 온데간데 없고, 근거 없는 장밋빛 주장만 난무한다면 이는 군정과 군민 모두에게 위험한 ‘공허한 선동’이 될 뿐이다.

■ 공공 매입은 수십억~수백억…재정 검증 없이 ‘그냥 사자’?

상설시장을 공공이 매입해 통합적으로 정비한다는 제안은 단순한 미화 작업이 아니다. 점포 수, 부지 규모, 소유자 구조에 따라 수십억에서 많게는 150억 이상까지도 소요될 수 있는 대규모 재정 사업이다.

그런데도 권 의원의 자유발언에는 다음의 내용이 전무하다.

√상설시장 매입 비용 산정, √리모델링 공사비 추계, √특화거리 조성 예산, √사업 후 경제효과 분석, √원도심 활성화 지표 설정 등 기초의원이 정책대안을 내놓는다면 최소한의 비용 대비 편익(B/C) 분석은 필수다.

근거 없이 “좋을 것이다, 효과가 클 것이다”라는 말만 반복하는 수준이라면 이는 정책이 아니라 즉흥적 선동이다.

특히 군비 의존도가 높은 홍성군의 재정 현실을 감안하면, 이런 식의 ‘백지수표성 사업 제안’은 매우 위험하다.

■ 전국 축산 1군 홍성…그러나 악취 민원엔 여전히 ‘손 놓은 행정’

권 의원은 “홍성은 축산 강군이니 K-바비큐 수도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실제 현장은 어떠한가.

홍성군은 축산 규모는 전국 1군이지만, 정작 악취 민원 대응을 위한 ‘악취 포집차량 1대도 없는’ 전국 유일의 축산대군 지자체라는 사실이 더 큰 문제다.

서산, 예산, 청양, 심지어 장호원 같은 중소 규모 지자체에도 있는 장비를 정작 ‘축산 1군’ 홍성은 갖추지 못한 채 주민들은 수십 년째 악취와 싸우고 있다.

이 상태에서 “축산 특화거리”, “K-바비큐 관광도시”를 외치는 것이 과연 주민들에게 어떻게 보일까.

악취로 밤잠 설치는 면단위 주민들의 생존권을 외면한 채 도시 미관과 관광만 강조하는 모습은 “냄새는 주민이 맡고, 돈은 원도심만 번다”는 조롱을 부를 수밖에 없다.

■ 특혜 논란도 피하기 어렵다

공공 매입 이후 특정 업종, 특정 상인 중심의 먹거리 타운을 구성한다면 누가 입점하느냐에 따라 특혜 논란이 불거지는 것은 당연하다. 자유발언은 개인 의견이지만, 그 영향력은 군민 전체에 미친다.

"상설시장 매입"이라는 단어 자체가 이미 시장과 상인들에게 직접적인 경제 신호를 주는 만큼 근거 없는 언급은 부동산값만 자극하거나 불필요한 오해를 만들 위험이 높다.

■ 악취 문제 해결 없는 바비큐 관광은 ‘모래 위 성’

권 의원이 강조한 “축산 강점”은 양날의 검이다. 강점이 되려면 먼저 악취·환경 문제 해결을 최우선과제로 배치해야 한다.

이는 군민의 삶의 질은 물론이고, 관광산업의 기본 토대이기도 하다. 악취가 바람에 타고 번지는 상황에서 바비큐 거리가 조성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관광객 유입은커녕 외부에 “냄새나는 바비큐 도시”라는 오명을 씌울 위험이 크다.

■ 지역경제 활성화는 필요하지만, 순서와 근거가 중요하다

원도심을 살리자는 목표는 무조건 옳다. 그러나 그 방법은 현실적이고, 주민 체감형이고, 재정적으로 지속 가능한 방식이어야 한다. 지금 홍성군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① 악취 민원 대응 시스템 구축 ② 축산환경 개선 투자 확대 ③ 상설시장 실태조사 및 비용·효과 분석 ④ 이해관계자 의견조사 ⑤ 관광·상권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이다.

이 과정 없이 ‘공공 매입’ ‘특화거리 조성’을 외친다면 그것은 지역경제 정책이 아니라 정치적 흥행용 문구에 지나지 않는다.

■ 결론: 군민과 양돈업자 모두 각성해야 한다

군민들은 더 이상 “좋아 보이는 말”만 믿어서는 안 된다. 양돈업계 또한 지역의 숙제인 악취 문제 해결을 외면한 채 “축산 강군”이라는 명성만 주장해서는 지속가능한 경제 구조를 만들 수 없다.

홍성의 축산은 자산이지만, 동시에 해결해야 할 난제도 많다. 그 현실을 외면한 채 내놓는 ‘바비큐 특화거리’는 군민에게는 부담, 외부에는 조롱거리, 행정에는 위험한 공수표가 될 뿐이다.

정책은 말이 아니라 근거·비용·책임으로 설명해야 한다. 그 순서를 무시한 자유발언은 오히려 지역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충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