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교육특구 추진 기반 확인 요구
원도심 보육난 해법 마련해 생활현안 대응 강조
[내포=투데이충남] 이지웅 기자= 충남도의회 김응규 의원(아산2·국민의힘)이 26일 제362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경제자유구역 추진, 국제교육도시 조성, 원도심 보육 안정화, 아산 교육발전특구 운영 등 충남의 성장 기반과 생활 현안 전반을 점검했다.
김 의원은 아산 인주·둔포 지역의 경제자유구역 추진과 관련해 “모빌리티·반도체·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집중된 핵심 축인 만큼, 글로벌기업 유치와 외국인 투자 확대를 위해 국제학교와 외국대학, 정주환경을 포함한 국제교육도시 모델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2008년 지정됐다가 2014년 자동 해제된 황해경제자유구역 사례를 언급하며 “산업수요 검증 부족 등의 실패를 반복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앙부처 협의 상황, 예비타당성 검토 준비, 민간투자 전략, 장기 재정계획 등 실질적 추진 기반을 질의하며 “충남이 서부권 경제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치밀한 사업 구조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도심 어린이집 운영난과 관련해서는 “정원 대비 충원율이 40~50% 수준으로 떨어진 곳도 있다”며 현행 보육지원 체계가 신도시 중심에 맞춰져 원도심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충원율 기반의 운영비 차등 지원, 노후 시설 개선, 보육교사 처우 보완 등 지역 맞춤형 대책을 제안했다. 또한 “충남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보육예산을 지원하고 있지만 원도심 환경은 악화되고 있다”며 더 과감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산시가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된 것과 관련해서는 “산업 성장은 빠르지만 교육 기반은 충분히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지역 산업구조와 연계한 아산형 창의융합 교육모델 구축을 주문했다. 그는 정식 교육과정 개발, 전문인력 확보, 특구 운영 계획 등을 확인하며 “특구가 실질적 교육혁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아산 교육발전특구는 충남 미래교육 방향을 시험하는 중요한 실험장”이라며 산업과 교육이 긴밀하게 연계될 때 지역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